윈도우10 복원 시점 만들기: 쉽고 빠른 방법
목차
- 복원 시점이란?
- 복원 시점 만들기 전 준비사항
- 윈도우10 복원 시점 만들기 단계별 안내
- 복원 시점 활용 방법
- 복원 시점 관리 및 주의사항
1. 복원 시점이란?
윈도우10 복원 시점은 컴퓨터 시스템의 특정 시점 상태를 저장하는 기능입니다. 시스템 파일, 레지스트리 설정, 설치된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게 해줍니다.
2. 복원 시점 만들기 전 준비사항
- 관리자 권한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.
- 중요한 데이터는 외장 하드나 USB 등에 백업합니다.
- 시스템 드라이브(일반적으로 C:)의 여유 공간을 확보합니다.
3. 윈도우10 복원 시점 만들기 단계별 안내
- 윈도우 검색창에 '복원 지점 만들기'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.
- '시스템 속성' 창에서 '시스템 보호' 탭을 선택합니다.
- '보호 설정'에서 시스템 드라이브(C:)를 선택하고 '구성'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'시스템 보호 사용'에 체크하고,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설정합니다.
- '만들기' 버튼을 클릭하고 복원 시점의 이름을 입력합니다.
- '만들기' 버튼을 다시 클릭하여 복원 시점 생성을 완료합니다.
4. 복원 시점 활용 방법
-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, 복원 시점을 통해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.
- 시스템 복원을 실행하면 복원 시점 이후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는 제거될 수 있습니다.
5. 복원 시점 관리 및 주의사항
- 정기적으로 복원 시점을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.
- 복원 시점은 시스템 드라이브의 공간을 사용하므로, 적절한 크기로 설정해야 합니다.
-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감염 시 복원 시점 자체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,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.